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 출시일 | ||
2019년 7월 31일(v1.3.0) | ||
| 처음 등장하는 패턴 | ||
육각형 | ||
| 분류 | ||
세트 레벨, 세트2 | ||
| 튜토리얼 개수 | ||
8개 | ||
| 해금 조건 | ||
6번째 세계 클리어 (PC) 5번째 세계 클리어 (모바일) | ||
| 관련 도전 과제 | | 클리어 시 해금 행성 색상 | |
● 어두운 초록색 (#004028) ● 올리브색 (#547141) |
1. 개요[편집]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중 세트2의 두번째 레벨인 8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특징[편집]
5번째 세계와 더불어 셋잇단 기반의 스윙 박자가 주를 이루는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번째 세계의 셋잇단 박자를 2배속한 모양이 2번 연속으로 등장하는 육각형 패턴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처음 보면 난해한 스윙 패턴이 레벨 전반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속도 또한 이전의 세계들에 비해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박자 감각을 익히기 위한 튜토리얼이 8개로 굉장히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럼에도 빠른 속도와 어려운 스윙 박자로 앞선 7번째 세계에 비해 확실히 어려운 난이도로 느껴진다는 것은 여전하나, 5번째 세계의 배속 도전을 쉽게 클리어 했다면 전반적인 패턴은 5번째 세계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빠른 속도만 주의하면 어렵지 않게 익숙해질 수 있다.
카메라 시점 고정 및 위치 변경 연출과 길 출현 및 퇴장 애니메이션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정규 세계이다.
여담으로 8번째 정규 세계의 출시를 기점으로 에디터에 앞선 카메라 이벤트와 길 애니메이션 이벤트 외에도 길 색상 설정 이벤트나 플래시 이벤트 등 기본적인 이펙트 요소가 에디터에 처음으로 추가되었다. 어떻게 보면 시각 효과가 전무했던 얼불춤 에디터에 '이펙트'의 개념이 처음으로 생긴 기념비적인 정규 세계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세트2의 정규 세계들 중 유일하게 메인 레벨에 수록된 곡이 외주곡이 아닌 7BG에서 자체적으로 작곡한 곡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곡이 현재까지 얼불춤의 정규 세계에 가장 마지막으로 사용된 경우이기도 하다.
처음 보면 난해한 스윙 패턴이 레벨 전반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속도 또한 이전의 세계들에 비해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박자 감각을 익히기 위한 튜토리얼이 8개로 굉장히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럼에도 빠른 속도와 어려운 스윙 박자로 앞선 7번째 세계에 비해 확실히 어려운 난이도로 느껴진다는 것은 여전하나, 5번째 세계의 배속 도전을 쉽게 클리어 했다면 전반적인 패턴은 5번째 세계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빠른 속도만 주의하면 어렵지 않게 익숙해질 수 있다.
카메라 시점 고정 및 위치 변경 연출과 길 출현 및 퇴장 애니메이션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정규 세계이다.
여담으로 8번째 정규 세계의 출시를 기점으로 에디터에 앞선 카메라 이벤트와 길 애니메이션 이벤트 외에도 길 색상 설정 이벤트나 플래시 이벤트 등 기본적인 이펙트 요소가 에디터에 처음으로 추가되었다. 어떻게 보면 시각 효과가 전무했던 얼불춤 에디터에 '이펙트'의 개념이 처음으로 생긴 기념비적인 정규 세계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세트2의 정규 세계들 중 유일하게 메인 레벨에 수록된 곡이 외주곡이 아닌 7BG에서 자체적으로 작곡한 곡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곡이 현재까지 얼불춤의 정규 세계에 가장 마지막으로 사용된 경우이기도 하다.
3. 튜토리얼[편집]
3.1. 8-1 경사진 길, 기억하시나요?[편집]
8-1 경사진 길, 기억하시나요? Remember Skewed Steps? | |||||
BPM | 130 | ||||
타일 수 | 17 | ||||
배우는 패턴 | 길게 이어지는 120° 위로 경사진 길 |
5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경사진 길이 매우 길게 이어져 있다. 사실상 2번째 세계의 엇박이 셋잇단 기반의 스윙 박자로 바뀐 것이라 봐도 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2. 8-2 꼬인 오르막길[편집]
8-2 꼬인 오르막길 Skewed Loop Climb | |||||
BPM | 130 | ||||
타일 수 | 31 | ||||
배우는 패턴 | 경사진 길 위 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
이전 튜토리얼의 경사진 길에 마름모꼴 모양의 길이 추가되었다. 본격적인 120°-60°의 스윙 박자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3. 8-3 펑키한 브레이크[편집]
8-3 펑키한 브레이크 Funky Break | |||||
BPM | 150 | ||||
타일 수 | 25 | ||||
배우는 패턴 | 300° 밑으로 꺾인 길 |
패턴의 모양 자체는 5번째 세계에서 나온 3번째 튜토리얼의 모양에서 중간의 1박자가 빠진 모양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같은 박자이나, 속도가 좀 더 빠르다.
따라서 60° 길의 연속으로 눌러야 하는 박자가 상당히 빠르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60° 길의 연속으로 눌러야 하는 박자가 상당히 빠르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4. 8-4 육각형을 소개합니다[편집]
8-4 육각형을 소개합니다 Introducing Hexagons | ||||
BPM | 150 | |||
타일 수 | 36 | |||
배우는 패턴 | 반육각형, 육각형 |
처음으로 육각형 패턴이 등장하는 튜토리얼이다. 모양은 다르지만 실제 박자는 4번째 세계의 삼각형 모양의 박자와 본질적으로 같다.
반으로 잘린 모양의 육각형 길은 4번째 세계의 삼각형 길을 2배 빠르게 한 박자와 똑같고, 육각형은 이를 한 번 더 반복해서 입력하면 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반육각형
■□□|■□□|■□■|□■□|■□□|■□□|■□■|□■□
육각형
■□□|■□□|■□□|■□□|■□■|□■□|■□■|□■□
반으로 잘린 모양의 육각형 길은 4번째 세계의 삼각형 길을 2배 빠르게 한 박자와 똑같고, 육각형은 이를 한 번 더 반복해서 입력하면 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반육각형
■□□|■□□|■□■|□■□|■□□|■□□|■□■|□■□
육각형
■□□|■□□|■□□|■□□|■□■|□■□|■□■|□■□
3.5. 8-5 네모난 파도[편집]
8-5 네모난 파도 Square Wave | ||||
BPM | 155 | |||
타일 수 | 24 | |||
배우는 패턴 | 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길은 5번째 세계의 3번째 튜토리얼과 박자가 같고,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길은 5번째 세계의 2번째 튜토리얼과 박자가 같다.
이 두 가지의 길이 순서대로 합쳐져 총 3번 연속으로 나온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이 두 가지의 길이 순서대로 합쳐져 총 3번 연속으로 나온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6. 8-6 바다뱀[편집]
8-6 바다뱀 The Sea Serpent | ||||
BPM | 155 | |||
타일 수 | 25 | |||
배우는 패턴 | 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앞선 튜토리얼과 비슷하나, 300° 밑으로 꺾인 길과 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사이의 중간에 있는 1박자가 300° 밑으로 꺾인 길의 1박자로 대체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300° 밑으로 꺾인 길 이후 바로 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로 진입한다는 점에만 주의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300° 밑으로 꺾인 길 이후 바로 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로 진입한다는 점에만 주의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3.7. 8-7 색소폰[편집]
8-7 색소폰 Saxophone | ||||
BPM | 160 | |||
타일 수 | 27 | |||
배우는 패턴 | 300° 밑으로 꺾인 길+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
처음 한 번의 300° 밑으로 꺾인 길 이후 2번째 튜토리얼에 등장했던 경사진 길 위의 마름모꼴 모양의 길이 3번 연속으로 등장한다.
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박자가 경사진 길에서 계속 이어지므로 익숙하지 않으면 중간에 박자를 놓칠 수 있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x3|■□■|□□■|□□■|□□□|■□□
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박자가 경사진 길에서 계속 이어지므로 익숙하지 않으면 중간에 박자를 놓칠 수 있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x3|■□■|□□■|□□■|□□□|■□□
3.8. 8-8 육각형 언덕[편집]
8-8 육각형 언덕 Hexagon Hill | ||||
BPM | 160 | |||
타일 수 | 26 | |||
배우는 패턴 | 경사진 길 위 육각형 |
앞선 튜토리얼의 경사진 길 위에 마름모꼴 모양의 길 대신 육각형 길이 대신 들어가 있다.
경사진 길에서 육각형 길로 들어갈 때는 육각형 길의 2번째 박자부터 셋잇단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처음 하면 박자 감각이 조금 생소할 수 있다.
특히 마지막 육각형은 경사진 길이 끝나고 바로 정박에서 1박자를 2번 입력하는데, 바로 다음에 나오는 메인 레벨의 마지막 패턴이자 상당수의 처음 도전하는 플레이어들이 이 구간에서 박자를 헷갈려 죽는 부분이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x3|■□□|■□□
경사진 길에서 육각형 길로 들어갈 때는 육각형 길의 2번째 박자부터 셋잇단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처음 하면 박자 감각이 조금 생소할 수 있다.
특히 마지막 육각형은 경사진 길이 끝나고 바로 정박에서 1박자를 2번 입력하는데, 바로 다음에 나오는 메인 레벨의 마지막 패턴이자 상당수의 처음 도전하는 플레이어들이 이 구간에서 박자를 헷갈려 죽는 부분이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x3|■□□|■□□
4. 8-X Jungle City[편집]
| 레벨 정보 | |||||||||||
곡 길이 1:27 | 타일 수 318 | ||||||||||
| 주요 패턴 | |||||||||||
| 난이도 | |||||||||||
8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이다.
셋잇단 기반의 스윙 박자가 아예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 메인 레벨인 만큼 이런 박자에 익숙하지 않으면 어려운데, 추가로 튜토리얼보다 훨씬 빨라진 BPM 200이라는 속도는 이제 막 7번째 세계를 클리어하고 온 초심자에게 매우 어려운 레벨로 평가된다.
이 레벨을 진행하다 보면 배경에 있는 도시의 풍경이 비춰지다가 중간에 숲이 우거지는 연출과 함께 박자에 맞춰 건물의 네온 사인이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연출이 등장한다. 또한 육각형 길로 들어갈 때 처음으로 카메라가 한 지점에 고정되는 연출이 처음으로 등장하며, 5번째, 6번째 튜토리얼에 등장한 패턴이 연속으로 나오는 구간에서는 길 등장 및 퇴장 애니메이션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진행하는 길이 전부 보이지 않아서 처음엔 당황할 수 있지만 튜토리얼에서 봤던 패턴과 정확히 일치하므로 그대로만 입력하면 쉽게 돌파할 수 있다.
마지막 구간에서는 카메라 시점이 오른쪽 위로 조금 올라간 상태로 진행이 되는데 경사진 길을 계속 올라가다 7번째 튜토리얼의 색소폰 패턴 이후 바로 8번째 튜토리얼의 마지막 패턴인 경사진 길이 끝나는 부분의 육각형 길로 들어가는데 이 부분에서 초심자들이 박자를 헷갈려 죽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마지막까지 집중을 요구한다.
목표 배속은 1.2배로, 기본 BPM이 200에서 240으로 증가한다. BPM이 빠른 만큼 상당히 어려워지니 주의해야 한다.
셋잇단 기반의 스윙 박자가 아예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 메인 레벨인 만큼 이런 박자에 익숙하지 않으면 어려운데, 추가로 튜토리얼보다 훨씬 빨라진 BPM 200이라는 속도는 이제 막 7번째 세계를 클리어하고 온 초심자에게 매우 어려운 레벨로 평가된다.
이 레벨을 진행하다 보면 배경에 있는 도시의 풍경이 비춰지다가 중간에 숲이 우거지는 연출과 함께 박자에 맞춰 건물의 네온 사인이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연출이 등장한다. 또한 육각형 길로 들어갈 때 처음으로 카메라가 한 지점에 고정되는 연출이 처음으로 등장하며, 5번째, 6번째 튜토리얼에 등장한 패턴이 연속으로 나오는 구간에서는 길 등장 및 퇴장 애니메이션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진행하는 길이 전부 보이지 않아서 처음엔 당황할 수 있지만 튜토리얼에서 봤던 패턴과 정확히 일치하므로 그대로만 입력하면 쉽게 돌파할 수 있다.
마지막 구간에서는 카메라 시점이 오른쪽 위로 조금 올라간 상태로 진행이 되는데 경사진 길을 계속 올라가다 7번째 튜토리얼의 색소폰 패턴 이후 바로 8번째 튜토리얼의 마지막 패턴인 경사진 길이 끝나는 부분의 육각형 길로 들어가는데 이 부분에서 초심자들이 박자를 헷갈려 죽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마지막까지 집중을 요구한다.
목표 배속은 1.2배로, 기본 BPM이 200에서 240으로 증가한다. BPM이 빠른 만큼 상당히 어려워지니 주의해야 한다.
모든 문서는 CC BY-NC-SA 4.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